[AWS] 6. Route53?
·
AWS
Route53?AWS에서 제공하는 DNS(Domain Name System) 웹 서비스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연결되도록 돕는 서비스! Route53 장점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기반 DNS 웹 서비스!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DNS 레코드 타입과 값 조정!다양한 로드밸런싱 기능 지원사용자의 요청을 EC2, ELB, S3 버킷 등 인프라로 직접 연결 가능!외부의 인프라로 라우팅하는데 사용 가능!도메인 이름 등록 지원!헬스 체크 및 모니터링 기능 제공!Route53 흐름사용자가 특정 도메인 탐색사용자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관리하는 DNS Resolver로 라우팅. 즉, 해당 도메인 요청해당 도메인에 대한 요청을 DNS Root Name S..
[AWS] 5. RDS?
·
AWS
RDS?RDS(Relastional Database Service)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입니다!DB 인스턴스는 클라우드에서 실행하는 격리된 데이터베이스 환경이며, 여러 사용자가 만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RDS는 여러 가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하며, 독립 실행형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액세스할 때 사용하는 툴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가능!RDS 특징AWS 명령줄 도구, Amazon RDS API 작업 또는 AWS Management Console을 사용해 간단히 DB 인스턴스를 만들고 수정 가능직접 시스템 로그인 불가능Serverless가 아니기에 Server가 필요!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지원RDS 구조Amazon RDS는 고가용성과 ..
[AWS] 4. Elastic Beanstalk?
·
AWS
주절주절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Elastic Beanstalk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도 재밌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Elastic Beanstalk?Elastic Beanstalk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는 PaaS입니다!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서버 설정, 스케일링, 로드 밸런싱, 모니터링] 등을 관리해 주어 인프라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인적 자원 집중도를 감소시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Elastic Beanstalk 특징관리 자동화 : 사용자가 코드를 업로드하면, Elastic Beanstalk이 인프라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운영!편리한 배포 : Elastic Beanstalk이 인프라를 관리해 주..